심리학은 인간의 마음과 행동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학자들은 인간의 행동에 대하여 무엇이 인간으로 하여금 행동하게 만드는가? 에 대한 원인과 동기에 관하여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 왔다. 동기에 관한 연구에서는 "우리가 무엇을 원하는가?" 또는 어느 정도 원하는가에 대한 것이 행동의 방향과 강도를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본 장에서는 인간의 동기의 탐색을 통하여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한 학습이 될 것이다. 동기의 단어 어원은 라틴어의 움직인다로 유래 되었다. 동기는 행동하게 하는 힘의 근원으로 기능한다. 동기에 대한 일반적인 청의는 행동과 방향을 결정하며, 끈기와 강도를 결정하는 힘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동기는 대상을 향하여 가깝게 다가가거나 멀리하게 만드는 행동의 추동이다. 동기와 관련된 것으로는 욕구, 추동, 동기유발이 있는데, 이것은 서로 연관된 개념이다. 그러므로 동기는 인간의 행동에 관련된 심리적 요인이며, 인간이 어떤 행동을 하도록 이끄는 힘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다.
동기이론
인간의 행동하게 되는 원인에 대한 내,외적인 이해를 위한 이론들을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정신분석적 관점
동기를 설명하는 이론에는 추동이론과 추동감소이론으로 분류해서 설명할 수 있다. 푸로이트는 이러한 무의식적 추동의 대부분은 성적인 충동이나 욕구 때문에 생겨나는 것이며 이 힘을 리비도라고 불렀다. 인간은 이러한 리비도를 해소하시 위해 행동하고 그 행동에 의해 불유쾌한 추동은 감소되고 유쾌한 상태는 회복된다고 보았다. 프로이트는 행동의 원인을 무의식적 추동이라는 개념으로 인간의 인간의 많은 행동은 충족되지 못한 강한 충동이나 소망에 대한 상징적 표현이라고 보고, 이러한 충동은 두려움이나 죄의식을 수반하는 무의식적 추동으로 작용하여 긴장을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프로이트의 행동의 에너지 원천인 리비도 개념은 본능, 옥구, 추동 등의 이론으로 설명되고 있다.
행동주의적 관점
행동을 유발하기 위한 환경이나 조건을 조성하는 것과 고나련되어 조건화이론으로 인간행동의 동기와 관련되 학습과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행동주의 이론에서는 높은 빈도의 반응를 일으키는 강화인자로서 동기를 이해하고 외적인 보상이나 유인과 같은 개념을 통하여 동기와 동기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어떤 행동이 지속적인 강화를 받으면 그 행동의 강도나 빈도는 증가한다. 학습의 결과에 따라 상이아 벌을 주는 것은 외적인 수단을 사요하여 동기화 시키는 방법이다. 인간의 생리적인 기본욕구의 기본 동기ㅇ를 설명하는 대표적 이론은 헐의 추동감소이론이다. 인간의 배고픔과 목마를 같은 생리적 욕구가 각성을 일으키고 음식을 먹거나 물을 먹어 각성된 욕구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프로이트의 욕구와 추동개념이 기초가 되었다. 헐은 프로이트가 인간행동의 근원을 지나치게 성적 욕구나 추동에서만 찾는 것이 문제가 있다고 보고, 추동의 개념을 보다 일반적인 맥락으로 확대하였다. 추동 감소는 생리적인 평형유지를 목표로 하며 인간의 행동은 유기체 내부에서 특정한 결핍에 의해 발생되는 욕구를 해소하기 위한 추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에서 우발되는 것이다.
인본주의적 관점
매슬로우및 로저스와같은 학자들은 전체로서의 인간 혹은 자아를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인본주의 동기이론괒 우심은 자아개념으로 볼 수 있다. 동기에 대한 인본주의적 해석은 동기의 내적인 근원을 자아실현 또는 실현경향성, 자기결단을 위한 개인의 욕구로 이해된다. 인본주의자들의 공통적인 주장은 인간은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기 위한 생득적인 욕구에 의해 지속적으로 동기화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동기화 된다는 것은 내적이 자원, 유능감, 자율성, 자존감, 자아실현들에 대해 긍적적인 지지가 연결됨을 의미한다.
매슬로우는 동기의 인본주의적 관점을 발전시켜서 욕구의 단계, 즉 욕구위계 이론을 정립하였다.
욕구위계이론에 다르면 인간의 욕구는 생리적 욕구, 안전 욕구, 애정과 소속감의 욕구, 자존의 욕구들이 어느 정도 충족되었을때 비로소 상위 욕구가 생성된다고 본다.
예를 들면 생리적 욕구가 충족되어야 안전 및 소속의 욕구가 발생하게되며 요구위계의 가장 높은 단계인 자아실현의 욕구는 그 아래 단계의 욕구들이 충족되어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아 존중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면 열등감, 좌절감, 무럭감, 자기비하 등의 부적적인 자기지각을 초래하게 된다고 본다. 인본주의에서는 동기를 모든 인간 존재의 성장과 발달의 원인이 되는 내부적이고 활동적인 힘으로 각 개인에게는 동기에 대한 발달적 원리가 내재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다.